-
Boost converter - voltage mode전력전자 2023. 5. 16. 16:36
회로를 보면 전통적인 open loop 방식의 boost converter 회로에
$V_o$ 를 type 3 compensator를 거쳐 duty cycle로 피드백 하는 구조이다.
이렇게 피드백을 굳이 구성하면 개루프 때 보다
스위칭 컨버터 특유의 리플이나 과도응답 특성이 훨씬 좋아지게 된다.
더 작은 인덕턴스, 케페시터 등등의 소자들로도 설계 조건을 충족하게 만들 수 있다.
지금 부터 소신호를 주로 해석한다. 대신호 기준값이 $X$ 라고 하면 그에 매칭 되는 소신호를 $\hat X$으로 표현한다.
$V_o$, $V_e$, $V_{ref}$의 라플라스 도메인 식 부터 시작한다.
$R_1$, $R_3$, $C_2$에 의한 합성 임피던스를 $R_o$로 표현,
$C_1$, $C_3$, $R_2$에 의한 합성 임피던스를 $R_e$로 표현 하면
$$R_o = R_1 || (R_3 + {\frac 1 {C_2s}})$$
$$R_e = {\frac 1 {C_3s}} || (R_2 + {\frac 1 {C_1s}})$$
그리고 $R_b$ 위의 노드에서 전류 보존 식을 쓰면
$${\frac {V_o - V_{ref}} {R_o}} = {\frac {V_{ref}} {R_b}} + {\frac {V_{ref} - V_e} {R_e}}$$
이 식은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식이므로 소신호에서도 성립하므로
$${\frac {\hat V_o - \hat V_{ref}} {R_o}} = {\frac {\hat V_{ref}} {R_b}} + {\frac {\hat V_{ref} - \hat V_e} {R_e}}$$
여기서 $V_{ref}$의 소신호라니 의아해할 수 있다. $V_{ref}$는 직류 전원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진행할 해석은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해석이고 $V_{ref}$의 오차가 있어도 안정적이야 하기 때문에
해석에 넣는다.
계속 전개하면
$${\hat {V_{ref}}} - {\frac 1 {({\frac 1 {R_o}} + {\frac 1 {R_b}} + {\frac 1 {R_e}}){R_o}}}{\hat {V_o}} = {\frac 1 {({\frac 1 {R_o}} + {\frac 1 {R_b}} + {\frac 1 {R_e}}){R_e}}}{\hat {V_e}}$$
여기서
$${({\frac 1 {R_o}} + {\frac 1 {R_b}} + {\frac 1 {R_e}}){R_e}} = A$$
$${\frac 1 {({\frac 1 {R_o}} + {\frac 1 {R_b}} + {\frac 1 {R_e}}){R_o}}} = B$$
라고 하면
현재 여기 까지 진행한 것이다.
$${\frac {\hat d} {\hat {V_e}}} = {\frac 1 {V_p}}$$
는 SR Flip-Flop이랑 Sawtooth Ramp, Comparator의 관계를 잘 생각해 보면 자명하다.
${\frac {\hat {V_o}} {\hat d}}$ 의 경우에는 소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R_L$, $R_{SW}$, $R_D$는 무시한다.
$V_L = L{\frac d{i_L} dt}$
GATE가 on 즉
D 동안 $L{\frac d{i_L} dt} = {V_g}$
GATE가 off 즉
1 - D 동안 $L{\frac {d{i_L}} {dt}} = {V_g} - {V_o}$
이므로 평균 내면
$${V_L} = L{\frac {d{i_L}} {dt}} = V_g - (1 - D){V_o}$$
${i_c} = C{\frac {d{V_c}} {dt}}$
D 동안 $-{\frac {V_o} R}$
1 - D 동안 ${i_L} - {\frac {V_o} R}$
이므로 평균 내면
$${i_C} = C{\frac {d{V_o}} {dt}} = -{\frac {V_o} R} + {i_L}(1 - D)$$
${i_C} = {\frac {V_o} {R_{LOAD}}} + C{\frac {d{V_o}} {dt}}$
따라서 $LC{\frac {{d^2}{V_o}} {d{t ^ 2}}} + {\frac L R}{\frac {d{V_o}} {dt}} = {\frac d {dt}}\{{i_L}(1 - D)\}$
여기서 소신호를 분리 하고. 즉 $X$ -> $X + {\hat X}$
${\frac {d(i_L + {\hat i_L})} {dt}} = {\frac {d{\hat i_L}} {dt}}$ 를 대입해 주고
대신호 수렴항을 취급한다면 ${V_g} - (1 - D){V_o} = 0$ 임을 고려해주고
소신호의 이차항을 오차 취급해주면
$$LC{\frac {{d^2}{\hat V_o}} {d{t ^ 2}}} + {\frac L R}{\frac {d{{\hat V_o}}} {dt}} + {(1 - D)}^2{\hat V_o} = -L{i_L}{\frac {d{\hat d}} {dt}} + (1 - D){V_o}{\hat d}$$
이걸 라플라스 변환하면
$${\frac {\hat {V_o}} {\hat d}} = {\frac {-L{i_L}s + (1 - D){V_o}} {LC{s ^ 2} + {\frac L R}s + {(1 - D)}^2}}$$
이와는 다른 접근으로 구하는 방법도 있다.
(PDF) Digital peak current mode control of boost converter (researchgate.net)
이게 voltage mode boost converter의 소신호 시스템이므로
위상 여유와 이득 여유를 통해 안정성 설계를 하기 위한 루프이득은
$A \cdot B \cdot {\frac {\hat d} {\hat {V_e}}} \cdot {\frac {\hat {V_o}} {\hat d}}$ 이다.
texas instruments 사의 양질의 자료인
Practical Feedback Loop Analysis for Voltage-Mode Boost Converter
가 아주 큰 도움이 됐다.
'전력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ak Current Mode Buck converter의 sample and hold 모델링 (0) 2024.02.05 Boost converter - peak current mode control (1) 2023.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