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ost converter - peak current mode control전력전자 2023. 6. 2. 16:13
앞의 voltage mode boost converter을 먼저 읽고 오시기 바랍니다.
Boost converter - voltage mode :: akswnd98 (tistory.com)
Boost converter - voltage mode
회로를 보면 전통적인 open loop 방식의 boost converter 회로에 $V_o$ 를 type 3 compensator를 거쳐 duty cycle로 피드백 하는 구조이다. 이렇게 피드백을 굳이 구성하면 개루프 때 보다 스위칭 컨버터 특유의
akswnd98.tistory.com
boost converter ic들이 주로 current mode 방식을 사용한다.
시스템 블록도 위의 시스템 블록도는 아래의 문서에서 LM3478이라는 전력ic와 함께 주변회로를 메뉴얼 대로 구성했을 때 나오는 모델의 소신호 시스템 블록도이다.
G1, G2, G3는 계산 편하게 하려고 유도과정에서 나오는 복잡한 수식을 내 멋대로 이름을 지어 놓은 것 뿐이니 큰 의미는 있을 지도 모르지만 필자는 모르겠다.
compensator
voltage mode 떄와 compensation 관련 식이 조금 다르게 나오는데,
이건 voltage mode에서는 보통 type3 compensator를 사용하고
current mode에서는 보통 type2 compensator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slope compensation (type2, type3 compensation 아님)
전류에 톱니파를 왜 더해주는 것일까?
그것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문서 4 page에 잘 나와 있다.
Practical Feedback Loop Analysis for Current-Mode Boost Converter
type2 compensator를 위한 두 가지 amplifier
전력 ic들이 compensator를 구성할 때 사용하는 amplifier는 OTA와 OPAMP 이렇게 두 종류가 있다.
전달함수는 비슷한 형태 이지만 실제 bode 선도를 그려보면 보상 그래프가 좀 다르게 나온다.
OTA에는 저항 1개, 커패시터 1개 직렬 구성이 메인이지만
OPAMP는 (저항 1개, 커패시터 1개의 직렬)과 커패시터 1개의 병렬 구성이 메인이다.
open loop boost converter의 average model의 관계식,
type2 compensator의 관계식, slope compensator의 관계식 등등으로
연립 방정식을 구성하고
그렇게 만들어낸 $\hat V_{in}$, $\hat V_o$, $\hat V_c$ 말고도 $\hat V_{cout}$, $\hat i_L$, $\hat d$ 까지 들어간 복잡한 연립 방정식을
위의 시스템 블록도 처럼 $\hat V_{in}$, $\hat V_o$, $\hat V_c$로 이루어지는 폐루프 식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핵심이다.
'전력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ak Current Mode Buck converter의 sample and hold 모델링 (0) 2024.02.05 Boost converter - voltage mode (2)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