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거꾸로 생각해 보는 것의 중요성
    사고법 2024. 7. 30. 21:10

     

     

     

     

    사고의 초보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너무 정직하게 접근하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풀이는 답만 내면 장땡이기 때문에 사고 흐름의 인과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아무 이유 없이 거꾸로 생각해보자.

     

    대표적인 예시는 브루트 포스이다.

    해답의 형태를 미리 정해놓고 검증해나가는 방식이다.

    해답이 항상 정공법으로 전개하다보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라고 파인만도 말했다.

     

    귀류법도 마찬가지이다.

    틀리다고 가정해놓고 모순을 발견하여 참임을 증명하는 거꾸로 사고법이다.

     

    내림차순으로 데이터를 정렬했는데 해답이 안 떠오르면 오름차순으로 정렬해보자.

    이유? 없다.

     

    뭐가 잘 안 들어가면 뒤집어 보자.

     

    DAG의 indegree를 계산해 봤는데 답이 안나오면 degree를 계산해 보자.


    인공지능에게 뭘 하지 말라고 했는데 말을 안 들어 먹으면 반대 속성의 무언가를 하라고 지시해 보자.

     

    시스템의 에러를 잡으려고 완성된 시스템을 이 잡듯이 뒤졌는데 원인을 못 찾겠으면,

    거꾸로 시스템을 처음 부터 다시 만들어가면서 디버깅해 보자.

     

    '사고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제를 좁히는 것의 중요성  (0) 2024.07.29
    집중력을 높이는 법  (0) 2024.05.26

    댓글

Designed by Tistory.